티스토리 뷰
목차
여름철만 되면 SNS에 올라오는 "전기세 폭탄" 후기들, 한 번쯤은 보셨을 거예요.
왜 우리나라 전기세는 이렇게 급격히 오를까요? 바로 누진제 때문입니다.
아래 내용을 통해서 전기 요금 누진세 구간과 계산방법에 대해서 한번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당장 전기요금 계산이 필요하신가요? 아래에서 간편하게 사용 전기요금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계절별 누진세 구간표
전기요금 누진제는 계절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왜냐하면 여름철에는 에어컨 사용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기 때문이죠.
🌞 하계 누진세 (7월 1일 ~ 8월 31일)
하계 누진세는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기간에 해당하는 금액입니다.
사용량 구간 | 사용량(kWh) | 기본요금(원/가구) | 전력량요금(원/kWh) |
1단계 | 0-300 | 910 | 120.0 |
2단계 | 301-450 | 1600 | 214.6 |
3단계 | 450이상 | 7300 | 307.3 |
❄️ 기타 계절 누진세 (봄, 가을, 겨울)
하계를 제외한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와 9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전기 누진세 구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용량 구간 | 사용량(kWh) | 기본요금(원/가구) | 전력량요금(원/kWh) |
1단계 | 0-200 | 730 | 105.0 |
2단계 | 201-400 | 1260 | 174.0 |
3단계 | 400이상 | 6060 | 242.3 |
계절별 차이점 분석
여름철과 다른 계절의 가장 큰 차이점은 1단계 구간의 범위입니다. 여름철에는 300kWh까지를 1단계로 보는 반면, 다른 계절에는 200kWh까지만 1단계로 인정해줍니다.
이는 여름철 에어컨 사용을 어느 정도 감안해서 만든 정책이라고 볼 수 있어요. 그런데도 여름철 3단계 요금(307.3원/kWh)은 1단계 요금(120원/kWh)보다 무려 2.5배 이상 비쌉니다!
실제 전기요금 계산 사례
사례 1: 4인 가족 평균 사용량 (300kWh)
여름철 계산:
- 기본요금: 910원
- 전력량요금: 300kWh × 120.0원 = 36,000원
- 총 요금: 36,910원
다른 계절 계산:
- 기본요금: 730원
- 1단계: 200kWh × 105.0원 = 21,000원
- 2단계: 100kWh × 174.0원 = 17,400원
- 총 요금: 39,130원
놀랍게도 같은 사용량임에도 다른 계절이 더 비쌉니다!
사례 2: 여름철 에어컨 사용 가정 (400kWh)
- 기본요금: 1,600원
- 1단계: 300kWh × 120.0원 = 36,000원
- 2단계: 100kWh × 214.6원 = 21,460원
- 총 요금: 59,060원
300kWh에서 400kWh로 100kWh만 더 사용했는데, 요금은 22,150원이나 더 나왔습니다. 이것이 바로 누진제의 무서운 점이죠.
전기요금 계산방법
전기요금 조회는 한전 홈페이지(https://online.kepco.co.kr/)에서 간편하게 가능합니다.

*전기요금 바로 계산하기를 통해서 위 한전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Step1 홈페이지(https://online.kepco.co.kr/) 메뉴 상단 > '전기요금' > '전기요금계산/비교' 클릭

Step2 계약종별선택란에서 '주택용(저압)' 선택

Step3 사용시작일/종료일 및 전기 사용량을 입력 후 '요금 계산' 클릭

🚨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취약계층 냉방비 지원금 신청방법
🚨 지금 당장 확인하세요! 정부에서 지원하는 여름철 냉방비 지원금 놓치면 최대 71만원 날리는 겁니다정부가 전기, 도시가스, 연탄, LPG, 지역난방 사용비를 지원해줍니다. 바로 '에너지 바우처'
standard.wonkiok.com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50만원 신청 방법
요즘 장사가 너무 어려워 공과금내기도 벅찬 상황입니다.저도 같은 처지에 상황이 너무 힘들어 나라에서 지원해주는 것들이 없나 몇일을 찾아보았습니다. 너무나 다행히도 이번 7월부터 공과금
standard.wonkiok.com
소상공인 비즈플러스 카드 신청방법 사용처
요즘 장사가 어려워 매일 매일이 걱정이신 소상공인분들! 저도 한때 현금 흐름 때문에 당장 내일이 걱정이었던 때가 있었습니다.그런데 이번에 이 비즈플러스카드를 알게되고 급한불을 끄게되
standard.wonkiok.com
전기요금 누진제란 무엇인가?
누진제는 전기 사용량이 늘어날수록 단위당 요금이 높아지는 제도입니다. 1974년 고유가 시대에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도입되어, 지금까지 50년간 이어져 오고 있어요.
쉽게 말해서, 전기를 조금 쓰면 저렴하게, 많이 쓰면 비싸게 받겠다는 뜻이죠. 마치 소득세처럼 단계적으로 세율이 올라가는 구조입니다.
전기세 절약을 위한 실용적인 팁
1. 누진 구간 경계선을 지켜라
- 여름철: 300kWh, 450kWh
- 다른 계절: 200kWh, 400kWh
이 경계선을 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2. 실시간 사용량 모니터링
- 아파트: 월패드에서 실시간 확인 가능
- 주택: 한전 파워플래너 앱 활용
- 매일 체크해서 한 달 사용량 예측하기
3. 고효율 가전제품 사용
인버터 에어컨 같은 고효율 제품을 사용하면 전기세를 20-50%까지 절약할 수 있습니다.
4. 시간대별 사용 패턴 조절
- 낮 시간대 에어컨 사용 자제
- 밤 시간대에 집중적으로 사용
- 불필요한 대기전력 차단
2024년 전기요금 인상의 영향
2024년 1월부터 전기요금이 대폭 인상되면서, 누진제의 영향이 더욱 커졌습니다. 특히 3단계 구간에 진입하면 부담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평소보다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마무리: 현명한 전기 사용을 위한 제언
전기요금 누진제는 에너지 절약을 위한 정책이지만, 일반 가정에게는 부담이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하지만 누진 구간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히 관리한다면 전기세 폭탄을 피할 수 있어요.
가장 중요한 것은 일일 사용량을 체크하는 습관입니다. 매일 10kWh씩 30일 사용하는 것과, 15일간 20kWh씩 사용하는 것은 같은 300kWh지만 누진 구간 관리 측면에서는 전자가 훨씬 유리합니다.
전기는 우리 생활에 꼭 필요한 에너지입니다. 현명하게 사용해서 가계 부담은 줄이고, 환경도 보호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시길 바랍니다!